-
[도서] 더 빠르게 실패하기 (4) - 성패를 가르는 창의적이고 번득이는 아이디어는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2025. 1. 29. 23:15
"더 빠르게 실패하기(Fail even Faster)"의 네 번째 내용을 전합니다 저의 인사이트(insight)를 추가하며 어제보다 나은 오늘의 삶을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이미지 - 더 빠르게 실패하기 책 표지 [ Chapter 1 ] 시간 가는 줄도 모를 만큼 재밌는 일이 있나요?
성패를 가르는 창의적이고 번득이는 아이디어는우리는 창의적이고 번득이는 아이디어를 원합니다. 그것은 성패를 가르는 최고의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책에서 아이젠의 연구에 따른 긍정적 기분과 즐거움이 유연한 사고와 복잡한 정보의 처리에 수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이젠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기분을 느낀 협상가들이 복잡한 교섭에서 통합적이고 유연한 해결책을 찾을 확률이 더 높다는 사실 또한 밝혀 냈다. 아이젠과 동료들의 다년간의 연구를 종합하면 즐거운 사람들이 훨씬 더 유연하게 사고하며 복잡한 정보를 더 잘 처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하버드대학교 아마빌레 교수는 지난 30년 간의 연구를 통하여 창의적 사고를 하는 방법적인 요소를 두 가지의 실험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하버드대학교의 테레사 아마빌레 교수는 지난 30년간 일터에서 행복을 느끼고 창의적 사고를 끌어내는 요소가 무엇인지 연구해 왔다. 그녀의 연구 결과는 내재동기가 그 열쇠임을 증명했다. 다시 말해, 일 자체를 기쁨과 만족과 흥미의 원동력으로 삼는 태도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높은 연봉이나 명성, 외부의 보상 같은 외재동기에 의해 일하는 사람들의 창의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아마빌레의 연구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그 중 한 가지 실험을 살펴보자.
아마빌레는 72명의 창의적인 작가들에게 눈(snow)에 대한 짧은 시를 쓰도록 했다. 그다음 72명을 세 조로 나눴다. 두 개 조는 글을 쓰는 이유에 대한 설문지 작성을 요청받았다. 첫 번째 조가 받은 설문지에는 작가를 직업으로 택한 이유를 7가지 항목으로 열거하고 그 순위를 매가는 것이었다. 단, 설문 항목들은 모두 외재동기에 관한 것이었다. 예를 들어 베스트셀러 소설이나 시집 한 권만 내도 평생 먹고산다는 말을 들어서와 같은 것이다.
두 번째 조의 설문 항복은 모두 내재동기에 관한 것으로, 나를 표현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과 같은 조항이 있었다. 마지막 세 번째 조는 설문지 작성 대신에 단편 소설을 읽도록 했다. 각각의 그룹이 주어진 과제를 마치자, 72명 모두에게 웃음이라는 주제로 짧은 시를 작성하라는 사항이 전달됐다. 12명으로 구성된 작가 그룹이 시의 창의성을 독립적으로 판단하고자 대기 중이었다. 작문을 마치고 창의성을 평가하자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처음 '눈'에 대한 시는 72명 모두 창의성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설문지 작성 후 '웃음'에 대해 쓴 시는 매우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내재동기에 관해 설문을 작성했던 조가 외재동기에 대한 설문에 응답했던 조의 시보다 훨씬 더 창의적이었기 때문이다. 평소에 글을 곧잘 써 오던 사람도 단 몇 분 동안 외재동기를 생각하는 것만으로 창의성이 저하됐다.
이 실험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명료했다. 밖으로 보이는 성공을 위해 개인적인 즐거움을 희생시키면 창의성은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아마빌레의 또 다른 연구도 살펴보자.
아마렐레와 동료들은 238명이 쓴, 총 1만 2천 건의 직원 일지를 연구했다. 그 결과 일기를 쓴 사람의 기분이 좋은 날에 창의적 아이디어가 떠오를 확률이 50%나 증가했다. 또한 긍정적인 기분은 이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 기분이 좋았다면 내일이나 모래 창의적인 생각이 떠오를 확률이 더 높았다. 오늘 느낌 좋은 기분이 며칠 후 새로운 아이디어를 샘솟게 만든 셈이다.다음은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프레드릭슨의 실험이다.
채플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의 심리학자 바바라 프레드릭슨은 '긍정적인 기분은 사람의 생각과 행동 범위를 넓히는 반면, 부정적인 생각은 개인의 사고를 제한하는 역효과를 낳는다'라고 발표했다. 한 연구에서 프레드릭슨은 104명의 대학생을 두 조로 나눠 각각 긍정적 혹은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기분을 불러일으키는 영화를 보게 했다.
영화 감상을 마치고 두 개의 이미지를 보여주며 둘 중에 좀 더 보편적인 이미지를 고르게 했다. 그러자 긍정적인 기분을 느낀 학생들은 전체적인 특징에 더 신경을 쓰는 반면, 부정적인 기분을 느낀 조의 학생들은 좁은 시각으로 이미지의 부분적인 세부사항에 집착해 결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프레드릭슨은 이 연구를 비롯해 많은 실험으로 긍정적인 기분은 새롭고 다양한 사고와 행동을 하게 만든다는 결론을 내렸다. 반면에 부정적인 기분은 시야가 좁은 사고와 행동에 그치게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만약 당신의 기분이 좋다면 좀 더 유연하게 생각하고 도전적인 행동에 뛰어들기 쉽다. 이런 행동은 개인적 자신을 축적하고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기회를 만든다. 물론 즐거움을 느끼는 것 자체는 일시적이다. 하지만 그것이 삶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프레드릭슨의 통찰력은 필자들의 경험에도 녹아 있다. 수만 명 의 삶을 연구하는 동안 필자들은 인생의 중요한 기회와 안목은 열정을 따르는 데서 시작된다는 것을 거듭 깨달았다.
----------------------------------------------------------------------------------
여기서 성패를 가르는 창의적 아이디어의 요소는 긍정적 감정과 긍정적 생각이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긍정을 바라볼 때 막연한 긍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여기서 말하는 진정한 긍정의 의미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해야 합니다. 위의 실험은 단순한 것이 아님을 보면서 긍정에 대한 자신의 기분과 생각이 창의적 아이디어의 촉매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해야 합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가 필요하다면 머리부터 싸매고 이리저리 고군분투하는 것이 아닌 편안한 마음 가짐을 가지고 생각과 마음을 진정시키고 긍정적인 기분을 가지기 위한 환경 설정이 필요한 것입니다. 아이디어는 젖은 수건에 물을 짜내듯 하는 것이 아닌, 젖은 수건에 물을 흡수하는 능력을 초과하여 흘러내리게 하는 것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마지막 부분의 프레드릭슨의 말을 인용하면 '인생의 중요한 기회와 안목은 열정을 따르는 데서 시작한다.'라는 것입니다. 막연한 긍정은 열정이 없는 긍정적 감정입니다. 하지만 열정을 갖는 긍정은 결국 창의적 아이디어를 쏟아내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막연한 긍정적 감정을 가진 것이 아닌 확실한 목표와 그에 따른 열정에 근거한 긍정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며 성패를 가르는 창의적 아이디어 사고를 얻어야 합니다.
우리 모두가 열정 기반의 긍정적인 기분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그것을 삶에 적용하시길 기원합니다. 오늘보다 나은 내일의 성공을 향하여 나아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 더 빠르게 실패하기 (6) - 가능한 빨리 형편없이 하라 (24) 2025.02.03 [도서] 더 빠르게 실패하기 (5) - 즐거움의 극적인 순간 (66) 2025.01.31 [도서] 더 빠르게 실패하기 (3) - 그 문제만 해결되면 (9) 2025.01.28 [개인 칼럼 2] 억울함의 미학(美學) - 경험담 (44) 2025.01.25 [도서] 더 빠르게 실패하기 (2) - 실패와 패배의 차이 (17) 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