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서] 더 빠르게 실패하기 (2) - 실패와 패배의 차이
    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2025. 1. 24. 13:25

     "더 빠르게 실패하기(Fail even Faster)"의 두 번째 내용을 전합니다 저의 인사이트(insight)를 추가하며 어제보다 나은 오늘의 삶을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이미지 - 더 빠르게 실패하기 책 표지

     

     책의 앞부분을 보면 가공하지 않은 45명의 순수한 독자평이 실려 있습니다. 여러 독자 분들께서 작성하신 글 중에서 눈에 띄는 단어는 "실패" 그리고 "패배"라는 단어였습니다.

     

    우리나라는 무언가를 실패한 이는 '패배자'라는 인식이 강하다. 하지만 이 책은 실패를 경험한 이를 오히려 성공한 이들이라 말하며 더욱 빨리 실패를 경험하라고 강조한다. 자녀를 키우는 학부모, 누군가의 상사인 분들이 이 책을 읽고 자녀와 후배의 실패에도 그 노력과 용기를 응원해 주는 그런 따뜻한 세상이 되었으면 한다.

     

    실패는 패배가 아니다. 더 빨리 더 많이 시도하고 실패해서 빨리 성공의 윤곽을 찾아가는 현명한 방법을 배워가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한다. 성공의 추월차선을 타고 싶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책이다.

     

     먼저 실패와 패배라는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실패 :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되지 아니하거나 그르침. (영어 : failure)

    패배 : 겨루어짐. 싸움에 져서 달아남.(영어 : defeat)

    [출처 : 네이버 사전]

     

     흔히 실패를 한다면 사전적인 의미처럼 뜻한 대로 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아니면 뜻하는 바를 그르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실패에 대한 결과를 패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패를 어떠한 결과에 대한 마지막이 아니라는 사실을 간과한다면 결국은 실패를 패배로 인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결투나 싸움에서 졌지만 그것을 인정하고 다시 도전하는 것은 실패하였지만 패배를 인정하는 것에서 머물러 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학교생활, 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어떤 주제나 키워드(keyword)를 가지고 활동하며 임무를 수행합니다. 학교에서는 조별, 팀별 과제를 수행하고, 회사에서는 프로젝트(project)라는 명목으로 업무를 수행합니다.

     프로젝트의 성공으로 학교와 직장에서 능력을 인정을 받을 수 있고 반면에 실패로 인하여 무능력한 사람으로 낙인찍히기도 합니다. 여기서 실패를 패배로 인식하고 그 자리에 주저앉는다면, 옛 말에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다."라는 명언은 결국 모순이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실패를 통해 패배했다는 감정을 인정한 채로 포기하는 것은 성공을 돕는 최고의 조력자인 어머니의 역할을  무색하기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우리 모두는 실패는 인정하되 패배했다는 자세와 태도는 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빠르게 실패하라고 하는 말은 패배를 빨리 맛보라는 것이 아닙니다. 실패를 통하여 자신의 객관적인 모습과 상황을 바로 직면하고, 성공을 향하여, 새로운 도전을 향하여 경험하기 위한 시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오히려 이것은 실패를 통한 성공의 빠른 지름길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 발걸음을 지체하지 않고 열심히 달려가야 하는 것입니다.

     

     직장에서 프로젝트를 실패할 때에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거나, 이 상황을 건너가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말처럼 프로젝트의 실패를 미워하되, 나 자신의 능력, 태도를 미워하지는 말라는 것입니다. 프로젝트의 성패와 나의 감정은 분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프로젝트가 실패한다고 나의 인생이 실패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실패가 나에게 패배감을 가져다준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임을 깨닫고,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 여부를 나의 감정과 섞어서는 안 됨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45명의 독자평을 통하여 실패하는 것이 자신의 발전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 것이며, 성공을 위한 필수 과정임을 기억하시고 삶에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