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 (9)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2022. 2. 3. 18:57
**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들 **
영어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다음과 같다.
5 단어로 : I am proud of you. (나는 당신이 자랑스럽습니다.)
4 단어로 : What is your opinion? (당신의 의견은 무엇입니까?)
3 단어로 : If you please. (당신이 즐겁다면)
2 단어로 : Thank you. (감사합니다.)
1 단어로 : You(당신) - '인생 코칭'에서 인용
모든 문장의 중심에 내(I)가 아닌 당신(You)이 있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나보다 먼저 상대를 생각하는 마음은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존중과 경청, 배려와 감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Hire hard, Manage easy. **
GE 등 54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채용 결정을 잘못 내렸을 때 드는 손실이 개인당 기본 연봉의 24배, ROI(투자수익률)로는 (-) 500%에 이른다고 한다. 하지만 이 수치는 직장 내 갈등이나 사기 저하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잠재 비용 등은 제외된 것이다. <채용 컨설턴트, Geoffery H. Smart>
나름대로 경영에 내공이 조금씩 쌓여갈수록(?) 기업과 경영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확고해짐을 느낍니다. 사람 관리의 첫 번째는 훌륭한 인재를 확보하는 것입니다. 아니, 사람관리, 더 나가서 기업경영의 A to Z 은 올바른 사람을 채용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는 다소 극단적인(?) 생각까지 하게 됩니다.** 가장 어려운 일과 가장 쉬운 일 **
어려운 일과 쉬운 일을 물었을 때 그리스 천문학자 탈레스는 이렇게 대답했다. '자신을 아는 일이 가장 어렵고 다른 사람에게 충고하는 일이 가장 쉽다. <디오게네스, 그리스 철학자>
일찍이 노자는 '누군가를 정복할 수 있는 사람은 강한 사람이지만, 자신을 정복할 수 있는 사람은 위대한 사람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자동차 왕 헨리 포드 또한 '성공의 유일한 비결은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고, 자신의 입장과 상대방의 입장에서 동시에 사물을 바라볼 줄 아는 능력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자신을 제대로 알기, 타인에게 충고하기, 둘 다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할 일입니다.** 하루 네 끼 식사와 5% 재(才) 테크 **
나는 하루에 밥을 네 끼 먹으라고 충고한다. 3번은 밥을 먹고, 나머지 한 번의 식사는 활자로 하라는 말이다. 하루에 적어도 30분은 뭔가를 읽는데 할애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이 습관의 누적효과는 대단히 크다. 또한 자신의 수입에서 5%는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데 투자해야 한다. 돈을 불리는 재(財) 테크도 좋지만, 그전에 자신을 계발하는 재(才) 테크에 투자하면, 결과적으로 재산도 늘어난다. <출처 미상, 일본 자기 계발서에서>
뛰어난 경영자들에게는 공통적 특징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매일 자기 혁신을 게을리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재(才) 테크와 학습을 소홀히 하는 경영자, 그런 리더는 이제 존재 자체가 힘들어집니다.** 나무에 가위질을 하는 것은 **
나무에 가위질을 하는 것은 나무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부모에게 꾸중을 듣지 않으면 똑똑한 아이가 될 수 없다. 겨울 추위가 한창 심한 다음에 오는 봄의 푸른 잎은 한층 푸르다. 사람도 역경에 단련된 후에야 비로소 제 값을 한다.
<벤자민 프랭클린>
인간미의 본질은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상대방을 진심으로 아끼고 보살피는 마음입니다. 무조건 부드럽고 싫은 소리를 안 하는 것이 인간미라고 착각해서는 안 됩니다. 상사가 부하의 잘못을 지적하고 지도하기 위해 꾸짖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인간미의 발로입니다. <이건희 회장>
단, 질책은 정말 그 사람을 키우기 위해 자극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만 할 수 있는 자제력이 필요합니다.** 인간관계의 황금률 **
실제 생활에서 리더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실제적인 충고는 이것이다. 볼모를 볼모로, 왕자를 왕자로 대하지 말고, 모든 사람을 사람으로 대하라. <제임스 번즈(James M. Burns)>
모든 유력 종교에서는 아래와 같이 '인간관계의 황금률'을 다루고 있습니다.
- 기독교 :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누가복음 6장 31절)
- 불교 : 내게 해로운 것으로 남에게 상처 주지 말라. (우다나품)
- 유교 : 내가 원치 않는 것은 남에게도 행하지 말라. (논어)
- 힌두교 : 이것이 의무의 전부이니, 내게 고통스러운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 (마하바라타)
- 이슬람교 : 나를 위하여 만큼 남을 위하지 않는 자는 신앙인이 아니다. (코란)
<'함께 일하고 싶은 팀장'에서 인용>반응형'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11) (0) 2022.02.08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 (10) (0) 2022.02.07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 (8) (0) 2022.02.02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 (7) (0) 2022.01.24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 (6) (0)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