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 (5)
    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2022. 1. 17. 19:49

    ** 끝없이 도전하는 삶 **

     

     

     스스로의 한계나 사업의 장래를 미리 결정하지 말라. 사업의 최대 장애물은 일을 시작하기도 전에 스스로 한계를 정하는 것이다. 사람과 사업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휠씬 더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 <칼리 피오리나, HP 전 CEO>
     그녀는 도전적인 상황에 일부러 맞닥뜨려 온 것이 자신의 성공 비결이라고 말합니다. 성공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가장 큰 차이는 얼마나 많이 실패했느냐가 아니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다시 도전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성공은 도전하는 자의 몫이고, 미래는 도전하는 자에게만 다가옵니다.

     

    ** 선생님이 됩시다. **

     

     여러분 중 리더인 사람들에게 조언하겠는데, 앞으로 직업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으면 선생이라고 답하라. 명함에도 그렇게 적어 넣고 항상 명심하라. 하지만 분명히 말하건대, 스스로를 선생이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가르치는 방법도 잘 알아야만 한다. <존 우든, '우든의 리더십' 中에서>
     가르칠 때 가장 많이 배운다고 합니다. 리더가 배움을 멈추면 그순간 리더로서 자격이 정지됩니다. 그러나 거기서 그쳐서는 안 되고, 이를 팀원들에게 가르쳐야 합니다. 여기에는 단순히 기술적 지식뿐만 아니라 리더 자신의 가치관, 원칙, 일을 처리하는 방식도 포함되어야 합니다.

     

    ** 성공의 고지 **

     

     성공한 사람들이 도달한 높은 고지는 단번에 오른 것이 아니다. 경쟁자들이 밤에 잠을 자는 동안 한 발짝 한 발짝 기어오른 것이다. <헨리 워즈워즈 롱펠로>
     샘 월튼 월마트 창업 회장은 '하룻밤 사이에 성공을 거두었다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나는 여기에 오기까지 20년 밖에 걸리지 않았다.'라고 말했습니다. 20년을 하룻밤처럼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그리고 성실하고 근면하게 일해 온 사람들에게 돌아가는 것이 바로 승리의 월계관입니다.

     

    ** 피터 드러커가 말하는 혁신의 정의 **

     

     혁신은 기존의 자원(Resources)이 부(富)를 창출하도록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는 활동이다. 페니실린도 한때는 자원이 아니라 병균일 뿐이었다. 영국의 미생물학자 플레밍의 노력에 의해 페니실린이라는 곰팡이는 가치 있는 자원이 되었다.
    <피터 드러커>
     피터 드러커의 '위대한 혁신'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많은 것을 새롭게 깨우치고 있습니다. 그 중 혁신과 자원에 대한 정의야 말로 압권입니다. 드러커에 의하면 혁신에 의해 가치가 부여되기 전까지 모든 식물은 잡초이고, 모든 광석은 돌덩어리 일 뿐입니다. 일례로 한 세기 전까지만 해도 원유는 자원이 아니었습니다. 아무것도 아닌 것에 부를 창출하는 능력을 부여하는 혁신 활동, 그것이야말로 기업의 존재가치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 A+ 평가를 받는 방법 **

     

     진정으로 훌륭한 지도자는 부하 직원의 성공이 자신의 성공임을 아는 사람이다. 부하직원들이 A를 받도록 힘써라. 그러면 상사인 본인은 A+를 받을 수 있다. 부하직원을 성공시키는 임원(팀장)이라는 명성을 구축하라.
    <이성용 베인&컴퍼니 대표, "한국의 임원들" 中에서>
     잭 웰치는 '좋은 상사란 친구요, 스승이요, 코치이며 동맹군이자 영감의 원천'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좋은 부하직원이 되기 위해 노력이 필요한 것처럼 좋은 상사가 되기 위한 노력도 마찬가지로 필요합니다. 좋은 상사가 되기 위한 제 1원칙은 직원들의 성공을 돕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 세상에 존재하는 두 종류의 사람 **

     

     세상에는 두 종류의 사람이 존재한다. 변명하는 사람과 결과를 얻는 사람이 바로 그것이다. 변명형 인간은 일을 수행하지 못한 이유를 찾지만 결과형 인간은 일을 해야 하는 이유를 찾는다. 반응하는 사람이 아니라 창조하는 사람이 되어라 .<앨런 코헨 (리더십 작가)>
     일이 안 되는 이유를 먼저 찾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문제를 해결해주면 안 되는 이유를 또 찾아냅니다. 안 되는 일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방해물이 생기면 반드시 해결책을 찾아냅니다. 결국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모든 일을 해내는 반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어떤 일도 해내지 못합니다. 모든 일은 마음먹기에 달려있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