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서]조영탁의 행복한 경영 이야기 (3)
    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2022. 1. 11. 10:23

    ** 주인의식의 마력 **

     

     양편에서 각각 두 사람이 줄다리기를 하면 이들은 한 사람씩 줄다리기를 하는 것에 비해 93%의 힘을 쏟는다. 세 사람이 되면 두 사람 때와 비교해 85%, 그리고 팀장 8명이 되면 그 수치는 64%로 떨어진다. 팀 멤버가 8명만 되도 각자가 쏟을 수 있는 총력의 49%만 쏟게 되는 것이다. <뉴욕대 링겔만 교수, GE KOREA 이채욱 회장 강연 中>
     일반적으로 하나 더하기 하나는 둘 이상이 됩니다. (시너지 효과) 그러나 사람이 늘어나는 만큼 생산성이 비례해서 높아지지 않는 경험도 많이 하게 됩니다. 소위 역(-)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문제의 핵심은 주인의식에 있습니다. 구성원 모두 주인의식을 갖게 하면 그 효과는 놀랠만큼 커집니다.

     

    ** 버릴 줄 아는 지혜 **

     개척자들의 공통점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버릴 줄 안다는 것이다. 개척자들은 전략의 본질이 버리는 것에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모든 것을 잘 한다는 것은 애초부터 불가능하다. 그리고 전략적으로 무엇을 선택한다는 것은 곧 버리는 것과 같은 의미다. <'대한민국 Only 1 신시장 개척자들' 에서>
     공평하게 자원을 배분하면 조직 내 반발을 줄일 수 있고 각 분야에서 그저 그런 성과는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분야를 잘하겠다는 것은 아무것도 제대로 하지 않겠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며, 이는 곧 망할 확률을 놓이는 것과 같습니다. 전략의 본질은 '모든 분야를 잘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분야를 버리는 것' 입니다.

     

     

    **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 **

     마음에 따라 사람의 모든 기관은 좌우되고 있다. 마음은 보고, 걷고, 굳고, 부드러워지고, 기뻐하고, 슬퍼하고, 화내고, 두려워하고, 거만해지고, 사랑하고, 미워하고, 부러워지고, 사색하고, 질투하고, 반성한다. 그러므로 세상에서 가장 강한 인간은 자기의 마음을 통제할 수 있는 인간이다. <'탈무드'에서>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만 가질 수 있습니다. 무엇을 하거나 무엇이 되거나 무엇을 갖는가는 모두 우리 생각에 달려있습니다.<로버트 쿨리에>

     

     

    ** 경영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형 **

     기업 경영의 과거형은 관리이다. 경영의 현재형은 소통(커뮤니케이션)이다. 경영의 미래형 역시 소통이다.
    <마쓰시타 고노스케>
     미래학자 존 나이스비트는 '미래의 경쟁은 경영경쟁이 될 것이다. 경쟁의 초점은 각 조직 내부 구성원과 외부 조직간의 효율적인 소통에 있다. 의사소통은 경영예술의 정점이다.'고 말합니다. 인체 내의 혈액이 순환하는 것처럼, 소통이 없으면 기업도 사망으로 가게 됩니다.

     

     

    ** 만장일치라면 결정하지 않는다. **

     올바른 결정은 반대되는 의견이나 다른 관점의 충돌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의견의 일치가 아니라 불일치이고, 모두의 의견이 일치한 경우라면 결정해서는 안 된다. 성과를 올리는 사람은 의도적으로 의견의 불일치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피터 드러커>
     유대인들 역시 "만장일치, 전원찬성이 된 안건은 실행해서는 안된다." 가르칩니다. 의견 불일치가 있으면 충분히 시간을 갖고 다각적으로 검토하게 되어 참가자들의 이해도 깊어지고, 그만큼 잘못된 결정을 내리게 될 위험이 줄어듭니다.

     

     

    ** 성공하는 CEO **

     성공하는 CEO는 결과가 나쁠 때에는 창문 밖이 아니라 거울을 들여다보며 전적으로 자신에게 책임을 돌리고, 다른 사람들이나 외부 요인들, 불운을 원망하지 않는다. 회사가 성공했을 때에는 거울이 아니라 창문 밖을 내다보며 다른 사람들과 외부 요인들, 행운에 찬사를 돌린다. <짐 콜린스, Good to Great 중 단계 5의 리더십>
     위대한 기업의 위대한 경영자들은 성공요인을 물으면 '운이 좋아서'라고 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반대의 사람들은 성공할 때에는 자신에게 찬사를 돌리지만, 결과가 실망스러울 때에는 외부에 비난을 떠넘깁니다. 경영자뿐만 아니라 일반 직원들도 똑같습니다.

     

     

    ** 의사 결정 시 반드시 고려할 사항 **

     의사결정 과정에서 인간관계를 무시하게 되면 의사결정에 참여한 사람들은 감정적으로 불만을 갖게 된다. 서로에게 나쁜 감정을 품게 되면 의사결정에 협력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 사항을 실행할 때, 위험 감수(Risk taking)에 대한 두려움도 증가한다. <아지리스(Chris Argyris)>
     의사 결정시 인간적 배려와 존중, 동참 유도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지나친 인간적 배려 위주의 의사결정은 합리적 의사결정이 힘들고, 정치적 행위가 난무할 위험이 증가하는 등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인간적 고려는 의사결정의 수단이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