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도서] 더 빠르게 실패하기 (15) - 아이디어를 위한 네트워킹
    도서 관련 지식과 정보 2025. 4. 21. 10:06

    "더 빠르게 실패하기(Fail even Faster)"의 열다섯 번째 내용을 전합니다 저의 인사이트(insight)를 추가하며 어제보다 나은 오늘의 삶을 이루시길 기원합니다.

    이미지 - 더 빠르게 실패하기 책 표지

    [ Chapter 9] 배경이나 관점이 전혀 다른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가라

    아이디어를 위한 네트워킹(Networking for Ideas)

     앞서 소개한 책 『이노베이터 DNA」에서 제프 다이어와 공동저자 들은 자원을 얻으려는 네트워킹과 아이디어를 위한 네트워킹의 차이에 대해 논했다. 일반적인 네트워킹에서는 개인들이 특정 자 원을 얻기 위해 다른 사람과 관계를 형성한다. 비즈니스 관련 인 맥, 판매 기회, 투자자들을 소개받기 위해서다. 하지만 성공하는 사람은 다른 인식을 갖고 있다. 일부러 배경이나 관점이 다른 사 람과 관계를 추구하는 것이다. 저자들은 이것을 아이디어 네트워킹(idea networking)이라고 불렀다.
     "자원을 위한 네트워킹과 반대되는 아이디어 네트워킹의 기본 개념은 자신의 사회적 인력들과 교류하지 않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입니다. 그래시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을 융합할 수 있도록요." 저자들은 아이디에 네트워킹이 뜻하지 않은 행운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이들이 연구한 CEO의 절반이 사회적 교류로 우연에 의해 사업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한다. 말레이시아 여행 중에 10억 달러의 아이디어를 생각해 낸 모튼의 사례를 들어보자.
     모튼은 1년간 말레이시아를 여행 중이었다. 낯선 곳인 만큼 자신과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으며 현지를 잘 알 수 있는 가이드가 필요했다. 여행사에 자신과 같은 미국인 가이드가 있는지 확인하고 믿을 만한 사람을 추천받았다. 말레이시아에서 살고 있던 가이드는 고향이 그리운 마음을 달래준 미국인 모임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모튼이 여행하는 동안 모임의 친구들과 함께 즐길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모튼은 말레이시아 현지인들과 모임 시간을 갖고 싶다고 했다. 가이드는 안내 기간 내내 현지인들을 소개해주며 그들과의 식사 자리를 만들어 줬다.
     그런데 함께 식사한 현지인마다 망고스틴이라는 과일의 효능을 그에게 반복적으로 자랑을 했다. 물론 망고스틴은 정말 맛있는 과일이었다. 모튼은 유타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박사과정 중인 형에게 연락해서 망고스틴의 효능에 관한 연구자료가 있는지 물었다. 그의 형은 구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모아 모든에게 보냈다.
     그 일을 계기로 모튼은 2002년, 망고스틴 주스회사인 쟁고'Zengo'를 설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회사가 설립된 지 단 6년 만에 10억 달러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했다.
     만약 모튼이 말레이시아 주민들과 대화를 나누지 않고 망고스틴에 관한 정보에 노출되지 않았다면 이 사업은 그의 것이 아니었을 것이다. 망고스틴에 관한 정보는 그의 고향이나 인맥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시카고대학교 사회학자인 론 버트도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자신의 인맥 밖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얻어지는 경우가 많다."라고 말했다. 폭넓은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한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사람에 비해 더 놓은 연봉을 받고 업무 평가도 더 좋았으며 승진 가능성도 더 높았다.
     버트는 창의성을 정보 교환의 일환으로 봤다. 개인의 천부적인 능력이 아닌, 여러 대상과 함께 일하면서 얻는 경험과 같은 것들을 말이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그들은 창의성 넘치는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찾아내곤 합니다. 천부적으로 타고난 창의성은 아니지요. 서로 주고받는 관계에서 얻는 창의성이니까요. 한 집단에서 진부하다고 치부하는 아이디어도 다른 집단에서는 새로운 통찰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겁니다."
     개인의 천재적인 행동이 아닌 정보 교환의 기능으로서의 창의성을 설명하는 버트의 설명은 우리가 만났던 고객들의 경험과 일치한다. 종종, 변혁을 증명하는 통찰력이나 생각은 우연한 사회적 만남에서 비롯된다. 쉴라의 사업 스토리는 이 점에서 훌륭한 예다. 

     

     우리는 사업이나 업무에서 아이디어를 찾을 때에 관련된 업무나 사람들을 만나서 얻으려고 하는 경향이 일반적입니다. 그 이유는 가장 쉬운 접근이면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어쪄면 이것은 이론적으로 지극히 상식적인 것입니다. 예시로 자동차의 신규 디자인을 찾기 위하여 자동차의 트렌드를 살펴보며 관련된 잡지를 보거나 전시회, 박람회 등을 찾아다니며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창의성이라는 키워드를 통하여 '망고스틴'이라는 획기적 아이템을 얻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 그리고 그 새로운 사람이 자신의 분야와 상관이 없거나 관련이 없는 사람을 만나며 교류하는 것을 통하여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사업과 수익으로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새로운 것에 대한 시도, 도전에 대한 불가능한 가능성을 예측하며, 특히 관련도 없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하여 새로운 것을 얻을 거라는 확신보다 시간 낭비로 여기는 부정적인 사고를 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것에 대한 도전에 두려움을 갖거나 시간 낭비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채로 교류에 대한 도전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아닌 기대감으로 접근하시길 추천합니다. 아이디어를 얻으려는 목표에 치중하기보다는 나의 생각에 대한 관점을 넓히고, 확장하며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으며 나의 기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찾는 것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얻고 싶다면, 새로운 것을 찾고 도전하고 싶다면, 주저하지 말고 새로운 모임에 동참해 보시길 바랍니다. 거기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그다음의 계획이고 도전이며, 시작이 반이라는 말처럼 모임에 참가하는 순간부터 이미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창의성 콘퍼런스(conference)에 참여하는 것임을 기억하며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도서, 생각의  기쁨(저자:유병욱)에서 '창의력은 쥐어 짜내는 것이 아니라, 흘러넘치는 것이다.'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옷이 젖기 위해서 물어 빠져 들어가는 것보다 비 내리는 날에 그저 서 있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실패를 통하여 더 빠르게 성공하며 더불어 아이디어, 창의성을 얻어 새로운 도전을 꿈꾸며 모험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